사용자가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면 어떤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화면에 페이지가 그려지게 되는 것일까?
웹 서비스는 사용자가 어느 시간이든 어느 곳이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24시간 365일 안정적인 전기 공급을 필요로 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회선을 사용해야 하며, 철저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개인이 서버를 관리하기보다는 전문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서버 컴퓨터를 임대해주는 서비스가 호스팅이다.
호스트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실제 웹 주소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에는 어려운 숫자로 된 구성이다. 예) 123.45.67.8
이를 IP라고 하는데 우리는 IP 대신 알아보기 쉽고 기억하기도 쉽게 도메인이라는 문자로된 주소를 이용한다.
사용자가 도메인을 입력했을 도메인을 다시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로 다시 변환해주는 것을 DNS라고 한다.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규칙이 있는데 이러한 규칙을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라고 한다. HTTP는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요청을 처리해 응답하는 형식이다.